정밀평가(Workup)
엑스레이
-
흉부 X선 이상
내시경 역행 쓸개이자조영술(ERCP): X-레이상에 보이는 방사선비투과성 조영제를 내시경을 통해 담관에 주사한 후 X-레이를 촬영합니다( 내시경 역행 쓸개이자조영술에 대한 이해). ERCP가 더 침습적이고 조영제 주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ERCP는 MRCP보다 덜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때때로 장애를 치료하는 데 ERC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담관암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혈액 검사와 ERCP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msdmanuals.com]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혈액, 소변검사와 혈액배양검사, 흉부X-ray 등을 시행하고, 심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심전도와 심장초음파를 시행한다. 가와사키병은 특징적인 임상증상이 나타나면서 진단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임파선염, 요로감염으로 진단됐다가 치료 중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많다. 관상동맥 합병증 발생할 경우 치명적 가와사키병은 합병증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 [knnews.co.kr]
이외에도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여러 질환과 구분해야 하는데, 일차성 담도성 간경변증, 허혈성 담관 손상, 선천적 담도 이상, AIDS로 인한 간담도 이상, 감염성 담도질환, 담도내 종양, histiocytosis X 등 과도 감별 진단을 해야 합니다. 4. [m.koreanmedi.com]
통해 확인이 필요하겠다. 2) 면역억제제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의 발병에 면역 기전이 작용하기 때문에 면역억제제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나, 효과를 보이지 못했으며, 자가면역 간염의 특성을 같이 보이는 overlap syndrome에서만 corticosteroid의 치료가 권장된다. 3) Obeticholic acid (OCA) OCA는 내인성 담즙산인 chenodeoxycholic acid (CDCA)의 반합성 유사체로 farnesoid X [m.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