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
전체 신체 시스템(Entire Body System)
-
임신 3기
그림 7-3 : IHSS와 HNCM의 비교 2) 경과 HISS에서는 무증상의 경우도 많지만 ① 허파울혈(폐울혈)이나 체혈류량 감소로 인한 두근거림(심계항진), 호흡곤란, 피로감 ② 관혈류 저하로 인한 가슴 압박감, 가슴통증 ③ 뇌혈류 저하로 인한 현기증, 실신 등을 호소한다. 3) 역학 비대형 심근병증(HCM)의 대부분은 산재성으로 나타나지만, 높은 비율로 상염색체 우성유전(AD)을 한다. 즉, 가족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m.blog.daum.net]
저작시기 2016.04 등록일 2018.11.08 한컴오피스 (hwp) 3페이지 가격 1,000원 목차 1. 치료 2. 간호 3. 합병증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치료 비후성 심근증의 관리목표는 심부전을 예방하고 급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happycampus.com]
심할 경우에는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이 발생할 수도 있고, 격한 운동 시에는 급사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원인 비후성 심근증은 환자의 약 반 수 가량이 가족중의 2인 이상이 심근비후를 보여서 유전적인 원인으로 추측하지만, 이 질환의 원인은 최근까지도 그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4. [hankookhospital.co.kr]
심근절제수술은 가슴 앞쪽 한뼘 이하의 작은 절개를 통해 대동맥 판막 아래쪽의 근육을 엄지손가락 크기 정도로 잘라내는 방법으로 평균 일주일 정도의 입원이 필요하고 2 3주 후에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은 물론 부정맥, 급사의 위험을 줄여 장기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수술 성공률 또한 상당히 높은 편이다. [mdjournal.kr]
평균 일주일 정도 입원해야 하지만 2 3주 후에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홍준화 교수는 "최근 연구에 의하면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은 물론 부정맥, 급사의 위험을 줄여 장기생존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수술 성공률 또한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health.chosun.com]
정밀평가(Workup)
T파
-
T파 반전
또 1번 유전자의 심장 troponin T 유전자의 변이는 특이하게 심근비후는 경미하지만 급사와 관련이 되는 나쁜 예후 인자로 알려졌다. 그 외에도 11번 유전자의 myosin binding protein C, 15번 유전자의 alpha tropomyosin 유전자의 변이 등이 있다. [m.blog.daum.net]
진단 1) 심전도: 대부분 환자에서 심전도 이상 ① ST-T절의 이상; 가장 흔한 심전도 이상 ② 심첨부 비후성 심근증에서는 깊은 T파의 역전 ③ 상심실성 빈맥, 심방세동 ④ 비지속성 심실성 부정맥; 환자의 약 1/4에서 급사와 관련 2) 단순흉부촬영: 좌심실 또는 좌심방 비대로 인한 심장 비대 소견. 3) 심초음파: ① 좌심실 비대 소견; 비대칭적 심실중격 비후(ASH) ② 승모판 전엽이 수축기중에 심실중격쪽으로 끌려가는 모습 4) 심도자 검사 [hosp.ajoumc.or.kr]
엑스레이
-
흉부 X선 이상
심장끝(심첨부)에 방실판막역류(MR)가 원인이 되어 수축기 역류성 잡음(apical holosystolic murmur)이 청취되는 경우가 많다. 5) 검사소견 가슴 X-선 사진 HISS는 심장음영(심음영)은 정상이거나, 약간의 확대를 나타낼 뿐이다. [m.blog.daum.net]
기본적인 내과 검사인 혈액/소변 검사, 흉부 X-RAY, 심전도 등의 검사를 통해 심장 외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보며 심근증 가능성을 알아봅니다. 3.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심장 초음파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후, 의학적인 판단하에 정밀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iheartwell.com]
흉부 X 선 검사 정상이거나 좌심실 비대, 좌심방 확장의 소견 등을 볼 수도 있다. 심초음파 검사 이면선 심초음파 소견 좌심실 비후 대부분 비대칭성 중격비후를 보이고 좌심실 벽두께는 약간 증가된 경우에서 심한 비후까지로 다양하다. 심실중격의 에코 증가를 볼 수 있고 중격 비후로 좌심실 유출로가 좁아지고 승모판막 구조물의 수축기 전방운동이 생기며 이는 승모판의 불완전 교합을 악화시켜 승모판 역류를 일으킨다. [cdc.go.kr]
진단 1) 흉부 X-선: 좌심실 확대, 폐정맥 고혈압, 간질성 혹은 폐포 부종 소견. 2) 심전도: 동성 빈맥, 심방세동, 심실성 부정맥, 좌심방 비대 소견, 심실내 전도장애. 3) 심초음파 : 좌심실 확대 및 수축기능 장애(좌심실 구혈률의 감소) 4) 심도자 검사: 허혈성 심장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서 주로 시행. [hosp.ajoumc.or.kr]
QT, RR, ST 간격
-
ST 상승
좌심실 비대, ST-T 변화, 좌심방 확장, 깊고 얇은 Q파, 외측유도에서 R파의 감소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어떤 심전도 소견도 향후 심혈관계 사건을 예측하는 데는 유용하지 못하다. 비후성 심근증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검사는 심초음파 검사로 특징적인 비대칭적 심실중격 비후나 심첨부 비후가 관찰되고 승모판막의 수축기 전방 이동과 그로 인한 좌심실 유출로의 폐색, 승모판 역류증과 같은 다양한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m.blog.daum.net]
임상증상 1) 운동부전이 주 증상(심박수 증가가 심실의 충만을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 2) 피로감, 호흡곤란, 중심정맥압의 상승으로 인한 사지의 함몰부종, 복수, 간비대(압통 동반), 복수, 전신부종 진단 1) 심전도: 저전압, 비특이성 ST-T파 변화 2) 단순흉부촬영: 심낭의 석회화가 없다. 심비대 소견이 없지만 페울혈의 소견이 보인다. 3) 심내막 생검 4) 심초음파 검사 : 좌심실 벽두께는 정상 혹은 약간 두꺼워져 있다. [hosp.ajoumc.or.kr]